작업치료 성인 평가도구 알아보기
환자의 기능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잡는 기준작업치료는 단순한 활동 제공이 아니라, 치료 전 정확한 평가와 분석을 바탕으로 맞춤형 개입을 제공하는 전문 분야입니다.특히 성인 작업치료에서 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치매, 파킨슨병,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원인을 가진 환자들이 병원이나 재활기관에 내원할 때,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작업치료사의 첫 번째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성인 작업치료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평가도구들을 소개하고, 각 도구의 목적과 활용 방법, 평가 항목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정신상태검사)가장 널리 사용되는..
2025. 4. 17.
요양병원 vs 요양원 작업치료사의 근무 차이점은?
같은 노인 대상 기관이지만, 일하는 환경과 목적은 전혀 다릅니다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을 위한 다양한 기관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그중 대표적인 시설이 바로 요양병원과 요양원입니다. 두 기관 모두 고령자,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운영 목적과 시스템, 구성 인력, 치료 접근법은 매우 다릅니다.작업치료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 두 기관은 단순히 근무 장소만 다른 것이 아니라, 업무 방식, 치료 내용, 팀워크 구조, 성장 방향까지도 확연히 구분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요양병원과 요양원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환경을 비교해,진로를 고민 중인 분들께 실질적인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1. 제도와 운영 목적부터 다르다요양병원은 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의료기관이고,..
2025. 4. 16.
언어치료와 작업치료 아동에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
“우리 아이가 발달이 느린데, 언어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작업치료를 받아야 하나요?”“언어도 늦고, 손 사용도 미숙한데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까요?”발달지연이나 발달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을 둔 부모라면 한 번쯤은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 특히 언어치료와 작업치료는 실제로 많은 부분이 겹쳐 보이고, 용어도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어떤 치료가 우리 아이에게 적절한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분들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언어치료와 작업치료의 개념, 목표, 적용 대상, 실제 치료 방식의 차이를 작업치료사의 시각에서 쉽게 정리하려고합니다.1. 언어치료 vs 작업치료, 개념부터 다르다항목언어치료작업치료정의말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치료중점 영역언어이해, 표현, 발음, 연하(..
2025. 4. 15.
아날로그와 디지털 인지훈련의 차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인지훈련의 차이수기 치료냐, 컴퓨터 프로그램이냐? 작업치료사의 선택 포인트작업치료에서 인지기능 훈련은 매우 중요한 영역입니다. 주의력, 기억력, 문제해결, 실행기능 등 다양한 인지영역을 자극하여 환자의 일상복귀와 독립적인 생활을 돕는 것이 주된 목표죠.그런데 최근, 인지치료 방법도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종이와 펜, 교구를 활용한 수기(아날로그) 인지훈련이 주류였다면, 요즘은 컴퓨터 기반의 디지털 인지프로그램이 현장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이 두 방법은 어떤 차이가 있고, 실제 임상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까요?이번 글에서는 작업치료사 입장에서 아날로그 인지훈련 vs 디지털 인지훈련의 장단점, 활용 방법, 적용 대상까지 비교해 보겠습니다.1. 치료 방식의 ..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