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업치료와 일상생활(ADL)의 관계: 삶을 다시 살아가게 만드는 치료

by 뇽블리's 2025. 4. 12.

 

현대 재활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단순한 신체 기능 회복을 넘어, “내 삶을 다시 살아가는 것”, 즉 일상생활의 독립성 회복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바로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활동)입니다.

ADL은 인간이 생존하고 생활하는 데 필수적인 기본적 활동으로, 신체적 능력뿐만 아니라 인지, 정서, 사회적 기능이 함께 작용해야 가능한 종합적 수행입니다. 그리고 이 ADL 기능 회복을 돕는 전문가가 바로 작업치료사(Occupational Therapist)입니다. 작업치료는 단순히 ‘손을 쓰는 치료’가 아니라, 환자가 스스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포괄적 재활이며, 그 중심에 ADL이 있습니다.

ADL이란 무엇인가? 구성과 의미

ADL은 보통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DL)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로 나뉘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적 ADL (BADL)
    옷 입기, 세수, 양치, 식사, 화장실 사용, 목욕, 침대에서 일어나기, 휠체어 이동 등
  • 도구적 ADL (IADL)
    요리, 장보기, 집안일, 약 복용 관리, 교통수단 이용, 전화 사용, 금전 관리 등

이 모든 ADL은 신체적 근력과 협응능력, 인지 기능, 시각·청각, 정서적 안정, 환경 적응력이 함께 작용해야 가능하며, 손상되었을 때는 삶의 질(QOL)이 급격히 저하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ADL의 회복은 단순 편의성을 넘어서, 자존감 회복, 사회 복귀, 가족 부담 경감까지 직결됩니다.

작업치료는 ADL 회복에 어떤 역할을 할까?

작업치료는 환자가 ADL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체, 인지, 감각, 환경 전반을 통합적으로 재조직화하는 재활 전문 영역입니다.

  • 기능 회복 훈련: 관절 운동, 근력 강화, 균형, 감각-운동 통합 훈련 등
  • ADL 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제 환경에서 옷 입기, 세면, 이동 훈련 등 반복 훈련
  • 보조도구 및 환경 수정: 손잡이, 미끄럼 방지, 일자형 수저 등 제공 및 환경 조절
  • 인지 및 시간 관리 훈련: 약 복용 시간 인지, 달력 활용, 실행기능 훈련
  • 가족 교육 및 퇴원 후 계획 수립: 간병자 대상 지도, 방문 작업치료 연계 등

작업치료의 목표는 단순히 손을 더 많이 움직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자기 손으로 삶을 다시 살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ADL 회복 작업치료

  • 사례 1: 뇌졸중 환자 A씨
    세면, 셔츠 입기, 침대에서 휠체어 이동 훈련을 통해 퇴원 시 독립생활 가능
  • 사례 2: 치매 초기 환자 B씨 
    약 복용 계획표, 요리 목록 정리 훈련을 통해 일상 유지 능력 향상
  • 사례 3: 척수손상 환자 C씨 
    휠체어 기반 옷 입기, 조리대 높이 조절, 욕실 환경 수정으로 자립성 확보

ADL 회복은 단순 기능 이상으로, 삶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작업치료로 ADL 향상시키는 전략들

  • 보상 전략(compensatory approach): 손상 보완을 위한 환경 조절 및 대체 기법
  • 회복 전략(remedial approach): 기능 회복을 위한 손가락 조작 훈련 등
  • 작업 기반 접근(occupation-based intervention): 실제 활동 수행을 통한 기능 향상
  • 과제 중심 훈련(task-oriented approach): 반복 훈련을 통한 스스로 전략 학습 유도

치료 전에는 K-MBI, FIM, AMPS 등 ADL 평가 도구를 활용해 수행능력을 수치화하고, 그에 따른 목표와 전략을 설정합니다.

결론: ADL은 삶의 핵심, 작업치료는 삶의 복원

일상생활을 ‘내 손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기능 회복을 넘어 존엄성과 자립성 회복입니다. 작업치료는 그 목표를 향해 환자와 함께 계획하고, 훈련하고, 환경을 바꾸며, 독립성을 높여주는 재활의 중심축입니다.

ADL이 회복되면 환자는 퇴원 후에도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지속할 수 있고, 장기적인 요양 비용 절감, 간병자의 부담 감소, 삶의 만족도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따라옵니다. 그렇기에 ADL 훈련은 ‘기능 훈련’이 아닌, 삶을 재설계하는 전인적 치료라 할 수 있습니다.